24
목차
2025년 기준, 영구임대주택공급에 대한 최신 정보와 관련 내용을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영구임대주택공급 개요
영구임대주택은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 장기간(최장 50년) 임대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주거비 부담 완화와 주거 안정에 중점을 둔 주택 유형입니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주택도시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이 공급하며, 입주 대상자 선정 시 주로 소득 및 자산 기준이 엄격히 적용됩니다.
2. 공급 대상 및 자격 요건
1순위 입주 대상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50% 이하인 사람
- 국가유공자 및 그 유족(특정 제외)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한부모가족, 북한이탈주민, 장애인, 65세 이상 직계존속을 부양하는 사람
-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등
2순위 입주 대상
-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50~70% 이하인 사람
- 기타 국토부 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3. 소득 및 자산 기준
- 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2025년 기준 서울시 예시(월평균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 기준):
가구원 수 | 월평균 소득 50% | 월평균 소득 70% | 월평균 소득 100% |
---|---|---|---|
1인 | 약 1,799,000원 | 약 2,518,000원 | 약 3,598,000원 |
2인 | 약 2,738,000원 | 약 3,833,000원 | 약 5,477,000원 |
3인 | 약 3,813,000원 | 약 5,338,000원 | 약 7,626,000원 |
4인 | 약 4,289,000원 | 약 6,004,000원 | 약 8,578,000원 |
5인 | 약 4,515,000원 | 약 6,321,000원 | 약 9,031,000원 |
- 자산 기준
- 총 자산가액 합산기준 약 2.37억원 이하
- 자동차 가액 3,803만원 이하
4. 공급 규모 및 주택 유형
- 공급 주택 면적은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적용 (예: 1~2인 가구는 30㎡ 미만, 3인 가구 30~39㎡, 4인 가구 39~42㎡, 5인 이상 가구 42㎡ 이상 등)
- 전용면적별 공급 호수는 지역별, 연도별로 차이 있음
- 임대료는 시세 대비 저렴하며 월 임대료 및 보증금 체계가 안정적임
5. 입주자 선정 절차
- 입주자 모집 공고: LH, SH 등의 공공기관 홈페이지 및 지역 주민센터, 온라인 플랫폼 등
- 신청 접수: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 서류 심사 및 현장 조사: 소득, 자산, 부양상황 등 심층 조사
- 입주자 선정: 점수제 또는 우선순위별 예비 입주자 선정
- 계약 체결 및 입주
6. 주요 정책 특징 및 효과
- 입주 기간이 최대 50년으로 장기 거주 가능해 안정적인 주거 기반 제공
- 저소득층에 집중된 맞춤형 공급으로 주거빈곤 해소에 기여
- 임대료 및 보증금 부담 경감을 통한 경제적 생활 여건 개선
- 입주자 선정을 위한 투명한 점수제 및 현장 실사 강화로 공정성 확보
7. 공급 계획 및 확대 방안
- 1.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기조
최근 정부는 주거 안정을 위해 임기 내 전국에 270만호 이상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가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영구임대주택은 주거 취약계층의 장기 안정 거주를 위해 점진적 물량 증가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2. 공급 계획 및 목표 물량
5년 내 영구임대주택 공급 확대: 노후 영구임대주택을 재건축하거나 신규 공급을 강화하여 2025~2030년 사이 지속적으로 물량을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신규 공공택지 활용: 그린벨트 해제 등 신규 공공택지 개발을 통한 대규모 주택 공급과 연계해 영구임대주택 부지를 확보하고 사업 속도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도심 내 공급 활성화: 공공택지 외에도 도심 내 노후 저층 주거지 재생, 유휴 부지 활용 등 다양한 공급 방식을 도입해 영구임대주택 접근성과 수요 대응력을 높입니다.
3. 확대 방안
1) 공급 방식 다양화
기존 건설형 영구임대 외 매입임대, 리모델링 활용 매입형 영구임대 확대
민간 협력형 임대주택 공급 촉진 및 공공-민간 협력 모델 개발
지역 맞춤형 소규모 임대주택 공급 확대 통해 지역별 다양한 주거 수요 대응
2) 정책 및 제도 개선
입주자 선정 제도 투명성 강화
입주 권리 보호 및 임대료 인상 제한 강화
장기 임대주택의 유지·관리 책임 강화 및 품질 개선 프로그램 추진
3) 주거복지 연계 강화
영구임대주택 입주민 대상 의료, 교육, 자활, 복지서비스 연계 확대
입주민 생활 안정 지원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4. 주요 현황 및 기대효과
영구임대주택의 지속적 확대는 저소득층 주거불안 해소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노후화된 공공임대 주택의 리모델링과 신축사업은 입주민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주거 환경 개선에 이바지합니다.
장기 거주가 가능한 주택 공급으로 인구의 안정적 주거 공간 확보 및 주거 자산 형성에 도움